분류 전체보기599 [중앙SUNDAY 김은기의 ‘바이오 토크’] ⑧ 피부색은 왜 다른가 여름철 피서 시즌이다. 약간 그을린 피부가 매력적이라는데 해변에서 선탠을 한번 해볼까? 하지만 조심스럽다. 미국 유학시절 덩굴옻나무에 긁혀 부은 다리 때문에 피부과 진료를 받은 적이 있다. 하지만 의사는 벌겋게 부어 오른 피부보다는 어깨에 있는 검은 점을 더 걱정했다. 한국 병원에서는 별 이야기를 하지 않던 검은 점에 대해 미국 의사가 신경을 쓰는 이유는 바로 악성피부암인 흑색종(melanoma) 때문이었다. 의사의 흑색종 판단 기준은 피부 점이 다음 어디에 해당하는가이다. 그 점이 비대칭이고, 테두리가 불규칙하고, 여러 종류의 색이고, 크기가 6㎜ 이상이면 흑색종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내 어깨의 점은 6㎜였다. 조직검사 결과를 기다리는 1주일 내내 마음고생을 했지만 다행히 암은 아니었다. 그 뒤로.. 2013. 7. 15. [뷰티누리] 다이어트… ‘굶을 것인가 걸을 것인가’ 다이어트… ‘굶을 것인가 걸을 것인가’ 김은기의 바이오 토크토크⑦ 물만 먹어도 살이 찐다며 세상이 불공평하다는 친구가 있었다. 그 친구는 별명이 ‘0.1 톤’, 체중이 늘 100kg대를 오르내린다. 하지만 그 친구와 한번 술을 먹어본 사람은 안다. 그의 ‘물’은 사실은 ‘술’이다. 그는 술을 즐긴다. 덕분에 허리둘레가 족히 100센티는 넘어선다. 그는 술은 많이 마시지만 안주는 안 먹는 편이라고 강변한다. 정말로 술만으로 살이 찔까? 어떤 사람은 알콜은 그 자체가 칼로리가 낮아서 몸에 지방으로 쌓이지 않는다고 하는데 왜 살이 찌는 것일까? 술자리에서 안주를 멀리하고 술만 먹는 것은 거의 ‘수도’에 가까운 인내가 필요한데 이런 인내가 필요하기는 한 것인지도 궁금하다. 다이어트를 원하는 사람이 술집에 가는 .. 2013. 7. 15. Small RNAs : Classification, Biogenesis, and Function - Melanie Ayungo 130629paper from Contents Bio Culture objective : small interfering RNA의 분류, 생성 과정, 기능에 대해 정리, 요약 설명한 논문입니다. 2013. 7. 10. Matrix Metalloproteinase-1 is the Major Collagenolytic Enzyme Responsible for Collagen Damage in UV-irradiated Human Skin - 이신애 Objective : 피부에 UV를 조사하였을 때, MMP-1과 MMP-13(피부의 collagen을 분해해 주름과 쳐짐을 유발하는 효소인)이 collagen을 자르는 활성과 반응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실험한 논문입니다. 2013. 7. 9. 비만을 일으키는 가장 강력한 용의자 '술' 다이어터라면 반드시 '술'을 피해라! ‘술’과 ‘비만’의 수상한 관계? 킁킁~ 조사하면 다 나와~ 민족의 대이동이 일어나는 추석이다. 일복이 터진 나는 명절임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서재에 앉아서 글을 쓰고 있다. 내가 워커홀릭이라고? 독자들이여! 재미없게 생긴 내 외모만 보고 오해하지 마시라! 난 누구보다 ‘재미’를 추구한다. 이름 하여 지속가능한 재미! 뭐든 순간 반짝하는 것보다, 한 번 시작했다 하면 그걸 지속적으로 해가는 걸 좋아한다. 사람 관계든 연구든 놀이든, 그게 무엇이 됐든. 그런데 왜 명절에 일을 하냐고? 바로 지금 거실에서 재잘재잘 떠드는 나의 조카들 때문이다. 명절 때마다 만나는 조카들에게 나의 존재는 가히 아이돌 못지않다. 심심하게 생긴 외모와 달리, 명절 때마다 조카들에게 재미있는 과.. 2013. 7. 5. [바이오화학에세이]나무에서 열리는 플라스틱 3장 전처리 및 당화공정 3장 바이오 테크놀로지(BT)가 핵심이다. 1. 전처리 및 당화공정 김치는 BT, 즉 바이오테크놀로지가 만든 최고의 맛이다. 일반적으로 바이오화학 제품은 3단계를 거쳐 만들어진다. 1. 바이오매스로부터 미생물이 이용할 수 있는 당(sugar)을 만드는 전처리 및 당화공정 2. 미생물 또는 효소를 이용해 에탄올, 젖산, 숙신산과 같은 기초화학 소재를 만드는 생물공정 3. 화학촉매를 이용해 바이오플라스틱 화합물을 포함하는 최종 화학제품을 만드는 화학공정 김치에 비유하자면, 유산균이 배추의 탄수화물, 즉 당(sugar)을 시원한 젖산으로 만드는 것이 김치 만들키의 키포인트다. 1.배추에서 당을 우려내는 전처리 단계 2.이렇게 생긴 당을 유산균이 발효를 통해 젖산으로 만드는 단계 3. 잘 포장해서 최종상품으로 .. 2013. 7. 3. 2013년 6월 22일 홈컴잉데이 후기 오랫만에 선후배가 모이는 자리. 신림동 중앙숯불갈비, 현역은 관악산 등산을 하고, 졸업생들은 낮에 교수님을 만나고 저녁에 현역과 선배들이 모였습니다. 어떤 선배님들은 대전에서 일부러 시간을 내서 올라오셨습니다. 왜 이 모임에 오게 되었을까? 무엇이 이날을 기다리게 하는 것일까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같은 공간 인하대학교 2남 134의 추억 때문입니다. 실험때문에 밤도 새고, 누군가의 하지 않는 설것이 때문에 열받기도 하고, 살아 오면서 하루의 가장 긴 시간동안 얼굴을 보면서 함께 보낸 추억때문입니다. 돈을 벌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딱히 학생도 아니고, 사회인도 아닌 애매한 시간을 함께하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그냥 반갑습니다. 비슷한 분야에서 일하고, 비슷한 고충을 겪고 있기 때문에 서로를 잘 이해하.. 2013. 7. 1. Melanosomal pH Controls Rate of Melanogenesis, Eumelanin/Phaeomelanin Ratio and Melanosome Maturation in Melanocytes and Melanoma Cells - Birendra Cumar Singh Birendra kumar singh29 4-13 from Contents Bio Culture Objective : Melanosome의 pH 변화에 따른 melanogenesis의 변화, Eumelanin/Pheomelanin의 비율 변화, melanosome의 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Melanoma cell과 Melanocyte를 이용해 실험한 논문입니다. 2013. 7. 1. Inverse Correlation between Pink-Eyed Dilution Protein Expression and Induction of Melanogenesis by Bafilomycin A1 - 김준섭 130629 paper study 준섭 from Contents Bio Culture Objective : Bafilomycin A1을 처리하였을 때, P -protein의 단백질 발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와 melanogenesis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논문입니다. 2013. 7. 1. Sophorolipid production from different lipid precursors observed with LC-MS - 안창하 130629 paper 창하 from Contents Bio Culture objective : 지방산 전구체에 따른 소포로리피드의 구조 변화를 LC-MS를 사용하여 연구한 논문입니다. 2013. 7. 1. 김은기 " 생명공학 육성하려면 대중과 친밀져야" 바이오문화사업단 http://www.biocnc.com/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sts.bio 신성장동력 BT 콘텐츠로 육성해야, 대중과 친밀해져야 BT 육성 가능해 21세기의 산업 패러다임으로 ‘BT(Bio Technology: 생명공학)’가 대두된 지 꽤 오래됐다. 하지만 그 시간에 비해 대중이 체감하는 BT는 너무 멀다는 것이 신성장동력으로의 걸림돌로 작용해왔다. 우리를 먹여 살릴 산업은 BT…인하대 김은기 교수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지원하는 인하대 바이오문화 사업단 김은기 교수는 ‘생명공학발전과 바이오 이슈’를 주제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김은기 교수는 고령화 사회, 지구 온난화, 세계화 등 최근에 떠오르는 각종 이슈의 답이 BT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바이오.. 2013. 6. 28. 2013.06.25 융합형 바이오문화 컨텐츠 개발을 위한 작가와의 두번째 만남 바이오문화 컨텐츠 개발을 위한 '드라마향기' 작가들과의 두 번째 만남이 진행되었다. 오늘 회의에서는 1단계 프로젝트인 분야별 바이오 컨텐츠를 선정하기 위한 다양한 의견들이 쏟아져 나왔다. 스토리를 만들어내기 위한 일종의 뼈대를 만들어내는 작업이다. 모두 6개의 분야가 정해졌다. 이를 토대로 자신이 관심있는 분야를 선택한 작가들은 7월 한달간의 자료조사를 통해 스토리텔링 작업에 들어갈 것이며, 창작단계인 2단계 프로젝트에 진입하기 위한 기반을 다질 것이다. 2차 창작단계에서는 대중에게 바이오문화를 쉽게 알리고, 접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의견이 나왔다. 연극이나 뮤지컬 기획, SNS드라마, 동화, 소설등으로 발전시키는 단계로 나아갈 예정이다. 한달 뒤 예정된 만남에서 기발하고 재미있는 바이오 에피소드들이 .. 2013. 6. 27. [뷰티누리] 아하(AHA)! 요구르트 아하(AHA)! 요구르트 김은기의 바이오 토크토크⑥ 찜질방은 21세기, 모든 정보가 오가는 곳이다. 더구나 한낮에 이곳을 찾은 동네 아주머니들에게는 더 없이 좋은 담화장소이다. 옛날 우물가에서 오가던 모든 이야기가 이곳에서 오간다. 어쩌다 들른 이곳에서 요구르트를 얼굴에 바르는 사람들을 만났다. 아니 저 비싼 것을 왜 얼굴에 바르지? 궁금한 것을 그냥 지나치기에는 요구르트는 발효로 만들어지는 즉, 내 전공분야 아닌가? 학교에서 학생들에게라도 이야기해 주려면 왜 그 귀한 요구르트를 얼굴에 버리는지 알아야겠다. 답은 의외로 간단하게 돌아왔다. “얼굴이 매끈해져요.” 요구르트가 피부에 유익한 것은 과학적으로 틀림없다. 요쿠르트는 우유에 젖산균을 첨가해서 하루 이틀 배양을 한다. 자라나는 젖산균은 우유를 젖산으.. 2013. 6. 27. [중앙SUNDAY 김은기의 '바이오토크'] ⑦ 비만·우울증까지 잡는, 참 기특한 배 속 유익균! 비만·우울증까지 잡는, 참 기특한 배 속 유익균! 김은기의 ‘바이오 토크’ ⑦ 장내 미생물 김은기 인하대 교수, 생명공학 전공 ekkim@inha.ac.kr | 제328호 | 20130623 입력 1 인체 장내 상피세포(자색)와 접하고 있는 장내 미생물(녹색). 2 장내 세균들(박테로이드(적색), 대장균(녹색))이 점막(청색) 속에 있는 인체세포(녹색)에 신호물질을 보내며 상호 소통하고 있다. 3 대표적 장내 유익균인 유산균의 전자현미경 모습. 발효음식(김치 요구르트) 등으로 장내에서의 수를 늘릴 수 있다. 한 마리의 실제 길이는 2㎛(㎛; 100만분의 1m) 자료: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Univ. Bern·flickor 얼마 전에 대장 내시경 검사를 했다... 2013. 6. 25. [기자서평-자연에서 발견한 위대한 아이디어30] 산길 걷다 옷에 붙은 씨앗 뚫어지게 보다 떼돈 번 사연 산길 걷다 옷에 붙은 씨앗 뚫어지게 보다 떼돈 번 사연 『자연에서 발견한 위대한 아이디어 30』 글 안성규 기자 askme@joongang.co.kr | 제328호 | 20130623 입력 흔히 ‘찍찍이’라 부르는 벨크로. 이 책의 저자는 이 ‘찍찍이’를 인간이 만들어낸 가장 편리한 발명품이라고 주장한다. 왜일까. 벨크로는 유명한 과학자가 몇 년간 고생해서 만든 게 아니라 평범한 사람이 반짝 아이디어로 만들어낸 창작물이다. 주인공은 1941년 사냥개와 야산에 오른 스위스의 전기 기술자 게오르그 드 메스트랄. 한참 걷다 보니 옷에 씨앗이 잔뜩 달라붙어 있었다. 보통 사람들은 그냥 털어버렸겠지만 그는 현미경을 들이댔다. 그런데 이게 뭔가. 씨앗이 갈고리로 무장하고 있는 게 아닌가. 그는 여기서 아이디어를 얻.. 2013. 6. 25. [바이오화학에세이]나무에서 열리는 플라스틱 2장 바이오화학의 헤택 2장 마르지 않는 유전, 바이오매스 3.바이오화학의 혜택 지구의 환경문제는 에너지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에너지 그리고 사용하는 물질을 태양열 기반에서 유래하는 물질로부터 만들어야한다. 바이오화학은 이런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다. 2 3 바이오화학의 혜택 from Contents Bio Culture 2013. 6. 19. 2013.06.18 융합형 바이오 콘텐츠 개발회의 과학과 문학분야의 융합을 위한 첫 발을 내딛었다. 오늘 융합형 바이오 콘텐츠 개발회의에는 드라마,뮤지컬,동화 등 다양한 분야의 작가 10명과 함께 진행되었다. 바이오콘텐츠 확산을 위한 다양한 의견이 개진되었다. 영화,소설,뮤지컬,드라마 등에 어떻게 하면 바이오과학을 일반인들이 쉽고 흥미롭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에 대한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매주 회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오늘의 첫 발이 밑거름이되어, 바이오문화 확산에 획기적인 좋은 컨텐츠가 개발되길 기대해본다. 2013. 6. 19. [바이오화학에세이]나무에서 열리는 플라스틱 2장 석유 문명의 위기를 해결하다 2장 마르지 않는 유전, 바이오매스 2. 석유문명의 위기를 해결하다 바이오화학으로 만드는 물질로 지구는 바뀔 것이다. 지금껏 만들어지고 사용되던 물건은 원유를 원료로 하는 대신 나무가 그 원료가 될 것이다. 2 2 석유문명의 위기를 해결하다. from Contents Bio Culture 2013. 6. 13. [뷰티누리] 왜 선탠에 목숨걸까? 예전에 아산 병원의 외국인 진료소 앞에서 안절부절못하고 있는 독일인 부인을 본 적이 있다. 떠듬떠듬 나오는 한국말을 종합해보니 피부에 중대한 문제가 생겨서 급히 달려왔다는 것이다. 소매를 걷어 내민 팔등에 100원 동전 크기의 커피색 반점이 보인다. 난 또 뭐 대단한 거라고. 하지만 그 부인의 이모와 어머니가 돌아가신 원인은 바로 그 커피색반점이었고 그것은 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이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오년 전에 보았던 독일여자의 그 반점이 지금도 내 기억에 남아있는 것은 그것이 암세포여서라기보다는 그 여자 피부의 거친 촉감 때문이다. 하얀 얼굴의 전형적인 백인인 그 부인의 팔등은 보기와는 달리 마감을 하지 않은 시멘트 담처럼 꺼끌꺼끌했다. 나의 경험상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유학시절 만난 흑인들의 .. 2013. 6. 11. <Achievement> 프로젝트 2013. 6. 7. <Achievement> 특허현황 2013. 6. 7. <Achievement>국내학술대회 2013. 6. 7. [바이오화학에세이]나무에서 열리는 플라스틱 2장 중동에서 불어오는 위기의 모래바람 1장 마르지 않는 유전, 바이오화학 1. 중동에서 불어오는 위기의 모래바람 2 1 중동에서 불어오는 위기의 모래바람 from Contents Bio Culture 2013. 6. 5. [중앙SUNDAY 김은기의 '바이오토크'] ⑥ 수퍼내성균 때려잡을 비책, 미역은 안다는데… 수퍼내성균 때려잡을 비책, 미역은 안다는데… 김은기의 ‘바이오 토크’ ⑥ 병원균과의 전쟁 김은기 인하대 교수, 생명공학 전공 ekkim@inha.ac.kr | 제325호 | 20130602 입력 1 플레밍이 발견한 페니실린 생산균이 자라던 배양 접시. 페니실린을 생산하는 곰팡이(상단의 큰 백색)가 우연히 날아들어와 자라면서 분비되는 페니실린 때문에 근처에는 병원균인 포도상구균(하단의 작은 백색들)이 자라지 못한다. 2 MRSA의 현미경 모습. 최근 발견된 수퍼 항생제 내성균(MRSA)은 독소를 동시에 뿜어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3 바이오필름(biofilm) 모습. 인체 내에 삽입하는 카테타(금속 수술보조기구)에서 붙어 형성된 포도상구균의 바이오필름 모습. 4 바다의 미역. 미생물의 통신 차단제를 이미 만.. 2013. 6. 3. [원료이야기]소포로리피드는 苦中作樂 (고중작락)이다 苦中作樂 (고중작락) : 괴로움속에서도 즐거움이 있다. 모든 일이 그렇지만 무엇이든지 즐겁기만 하고, 무엇이든지 괴롭기만 한 것은 아니다. 물질도 마찬가지이다. 건강기능식품도 화장품 원료도 먹었을때, 항상 몸에 좋은 것도 아니고, 얼굴에 발랐을 때, 항상 좋은 것도 아니고 나쁜 것도 아니다. 소포로리피드라는 물질은 물에 잘 용해되기도 하고, 기름에 잘 용해되기도 한다. 하지만, 참기름 보다 기름에 잘 용해되지 않고, 설탕 보다 물에 잘 용해되지 않는다. 어떻게 보면 어중간한 물질이지만, 어떻게 보면 두 물질을 다 포용할 수 있는 물질이다. 소포로리피드 원료를 개발하는 과정도 마찬가지로 苦中作樂 (고중작락) 즐거움과 괴로움이 공존하고 있다. 2013. 5. 31. 인경제 바이오체험 프로그램 2013. 5. 30. [바이오화학에세이]나무에서 열리는 플라스틱 1장 여인의 마음을 사로잡는 바이오매스 1장 세상을 변화시키는 바이오매스 4. 여인의 마음을 사로잡는 바이오매스 1 4 여인의 마음을 사로잡는 바이오매스 from Contents Bio Culture 2013. 5. 29. [뷰티누리] 피부탄력의 비밀 '히알루론산' 피부탄력의 비밀 ‘히알루론산’ 김은기의 바이오 토크토크④ “거울아 거울아 세상에서 누가 제일 예쁘냐?”고 백설공주의 계모 왕비는 거울에게 물어보았다. “왕비님이요”라고 답하던 거울이 어느 날 “백설공주요”라고 답하기 시작하면서 왕비의 모든 불행이 시작되었다. 어린 아이던 백설공주는 18살, 이제 한참 예쁠 나이가 된 것이고 왕비는 그동안 나이가 들어가서 늙어 보인 것뿐이다. 이런 간단한 진리를 왕비가 몰랐던 것인지 아니면 알고도 인정하기 싫은 것인지 왕비에게 물어보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세상의 어느 여인도 나이 들어 생기는 주름살을 인정하기는 싫을 것이기 때문이다. 내 얼굴이 늙어 보이는 것은, 즉 얼굴에 주름이 생기는 것은 나이 탓 만일까? 아니면 다른 원인이 있을까? 나이 탓 만이라면 포기하고 살.. 2013. 5. 27. Sophorolipids as Antibacterial Agents - 전상귀 130518 paper 전상귀 from Contents Bio Culture objective. -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Ls and several derivatives were tested against a selection of standard bacterial isolates using the broth microdilution method. yeast 속의 candida bombicola 를 이용하여 생산한 소포로리피드의 항균성을 테스트한 논문. 2013. 5. 26. <Achievement> 국제학술대회 2013. 5. 23.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