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김교수의 바이오 스토리 하우스
  • 바이오 스토리 하우스
  • 바이오 스토리 하우스

사포닌2

(18)기침, 감기 도라지로 확 잡으세요~ 「도라지 도라지 백도라지/심심산천에 백도라지‥·」. 민요를 통해 우리에게 친숙한 도라지는 예로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 온 식물이다. 햇볕이 잘 드는 산기슭에서 자라는 도라지는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7~8월에 백색 또는 보라색 꽃이 핀다.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농가에서 많이 재배를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주택가에서도 도라지 밭을 흔히 볼 수 있다. 도라지는 보통 뿌리만 식용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어린잎과 줄기도 데쳐 나물로 먹기도 한다. 도라지는 도랏, 돌가지 등으로도 불리며 한방명은 길경(桔梗)이다. 도라지는 조선시대 기록에도 각종 요리방법이 소개됐을 정도로 우리생활에서 다양하게 이용돼 왔다. 도라지의 식용과 관련해 「산림경제」에는 양념을 발라서 굽는.. 2022. 8. 18.
(17)오늘 저녁은 몸에 좋은 더덕 어때요? (제주) 초롱꽃과에 소속한 다년생 덩굴식물의 더덕은 주로 산에 자생하며, 뿌리가 도라지나 인삼의 뿌리와 비슷하다. 먹는 부분이 바로 뿌리 부분이다. 더덕 뿌리는 독특한 향과 쌉싸름한 맛이 인삼과 비슷하면서도 다른데, 뿌리 쪽에 사포닌이 많아 효능도 인삼과 비슷하다. 한약방에서는 양유근이라는 이름으로 취급한다. 산에서 자라는데다 인삼이랑 비슷하게 생겨서 종종 산삼으로 착각하게 되는 식물이기도 하다. 더덕은 잎이 4 장이고 산삼은 잎이 5 장이라고 한다. 더덕이란 이름은 뿌리에 울퉁불퉁한 작은 혹이 더덕더덕 붙어 있는 모양새를 보고 붙여졌다고 한다. 사포닌은 과다한 콜레스테롤과 지방을 흡착, 배설하는 기능을 하는 건강에 유익한 성분이다. 게다가 더덕에는 폐 기능을 강화하는 성분이나 호흡기 질환을 완화하는 성분도 있기.. 2022. 8. 17.